모두진
카테고리: 환경

사용후 배터리, 국가 핵심 자원으로 키운다

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발표 환경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'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'을 공식 발표했다. 이번 대책은 전기차 등 모빌리티 ...

2025-05-14

대전 천연기념물센터, 자연과 문화유산의 만남

대전 천연기념물센터, 자연과 문화유산의 만남 대전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대전 천연기념물센터는 우리나라의 소중한 자연과 문화유산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...

2025-05-13

서울 수변활력거점 9곳 추가 조성

서울 수변활력거점 9곳 추가 조성, 총 17곳으로 확대 서울시가 지방하천과 지천을 문화, 경제, 휴식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‘서울형 수변감성도...

2025-05-12

대전시가 전하는 재활용 분리배출 핵심 4가지

대전시, 재활용품 분리배출 정확한 요령 안내 대전광역시는 시민들이 재활용품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. 최...

2025-05-12

청년환경단체 프리데코,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

청년환경단체 프리데코,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한 미래 전주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청년환경단체 프리데코는 환경 문제 해결과 더불어 사는 사회를 꿈꾸며 20...

2025-05-10

보라매공원,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대변신

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, 보라매공원에서 개최 2025년 5월 22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울 보라매공원 일대가 시민대정원으로 탈바꿈합니다. 이번 박람회는 역...

2025-05-09

경기 특화지구 1회용품 제로 도전, 가톨릭대 95% 회수율 눈길

경기도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확대 경기도는 2024년부터 전국 최초로 ‘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’를 시행하며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습니다. 올해는 양...

2025-05-08

충남, 아시아 탄소중립 협력 강화 나서

충남, 아시아 탄소중립 협력 강화 나서 충청남도 김태흠 도지사가 아시아 지역의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확대에 나섰다. 김 지사는...

2025-05-08

양평 용담, 다회용 컵으로 친환경 실천

일회용품 없는 양평 용담 특화지구 현장 경기도 양평군 용담1리 마을회관 앞 일대가 ‘1회용품 없는 양평 용담 특화지구’로 지정되어 환경 보호를 위한 다회용...

2025-05-07

짠테크와 탄소중립 실천을 한번에 탄소업슈

충청남도, 탄소중립 생활 실천 위한 탄소업슈 앱 활성화 충청남도는 2025년 2월 도청 대회의실에서 도 및 시군 환경부서장 회의를 개최하고, '2045 탄소중립 ...

2025-05-07

종이팩 분리배출로 제주 자원순환 실천

종이팩, 제대로 분리배출해야 자원으로 재탄생 제주 지역 시민들을 위한 중요한 안내입니다. 우유팩과 멸균팩 등 종이팩을 그냥 버리면 재활용이 어렵지만, ...

2025-05-02

경기도민만 누리는 기후행동 리워드

경기도민을 위한 특별한 기후행동 리워드 정책 경기도는 도민들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실천을 장려하기 위해 ‘기후행동 기회소득’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...

2025-05-01

광주를 물들인 오월의 위로, 이팝나무

오월 광주를 상징하는 이팝나무의 의미 5월, 광주 도심 곳곳에 하얀 꽃이 만개했습니다. 이 꽃은 바로 이팝나무의 꽃으로, 광주의 5월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...

2025-05-01

5~8월 오존 고농도 집중관리 강화

5~8월 오존 고농도 집중관리 강화 환경부는 매년 5월부터 8월 사이 햇빛이 강한 오후 시간대에 자주 발생하는 오존 고농도 현상에 대비해 여름철 오존 집중관...

2025-04-30

새천년 상징 느티나무의 깊은 이야기

새천년 밀레니엄 나무, 느티나무 1999년 12월 27일, 산림청은 21세기 새천년을 상징하는 '밀레니엄 나무'로 느티나무를 선정했다. 국민들로부터 추천받은 후...

2025-04-30
이전9101112다음
모두진 네트워크
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